반응형

(문장 속 훈음은 달라질 수 있음)

전할

 

 

 

그칠

어조사

이를

착할

 

 

 

 

이를

 

 

 

 

나라

경기

일천

마을

 

 

생각할

백성

그칠

 

 

 

 

시경에 이르기를 ‘나라의 畿內 천리여, 백성들이 멈추어 사는 곳’이다.

 

 

 

 

장사

칭송할

검을

 

 

나라

경기

 

 

임금

도읍

잇기

 

 

그칠

 

 

잇기

 

 

말씀

물건

각각

있을

마땅

그칠

잇기

 

 

시는 商頌 玄鳥篇이다. 邦畿는 王者의 都邑이요, 止는 居함이니, 물건은 각기 마땅히 그쳐야 할 곳이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이를

 

 

 

 

낚싯줄

오랑캐

누를

 

 

그칠

어조사

언덕

모퉁이

 

 

 

 

아들

가로

 

 

 

 

어조사

그칠

 

 

그칠

 

 

옳을

사람

말이을

아닐

같을

어조사

 

 

 

 

시경에 이르기를 ‘緡蠻히 우는 黃鳥여, 丘隅에 멈춘다’ 하거늘,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그칠 때에 그 그칠 곳을 아니, 사람으로서 새만 못해서야 되겠는가’ 했다.

낚싯줄

 

 

 

 

 

 

지을

綿

 

 

 

 

 

 

작을

맑을

綿

오랑캐

 

 

낚싯줄

오랑캐

 

 

소리

 

 

언덕

모퉁이

 

 

봉우리

고을이름

 

 

아들

가로

아래

 

 

구멍

아들

말씀

 

 

 

 

말씀

 

 

말씀

사람

마땅

마땅

그칠

잇기

 

 

詩는 小雅 緡蠻篇이다 緡蠻은 새 울음소리이다. 丘隅는 산이 깊고 숲이 울창한 곳이다. 子曰 이하는 공자께서 시경을 해석한 말씀이다. 사람은 마땅히 그쳐야 할 곳을 알아야 함을 말씀한 것이다.

 

 

 

 

이를

 

 

 

 

화목할

화목할

글월

임금

 

 

어조사

모을

빛날

공경

그칠

 

 

 

 

사람

임금

 

 

그칠

어조사

어질

 

 

사람

신하

 

 

그칠

어조사

공경

 

 

사람

아들

 

 

그칠

어조사

효도

 

 

사람

아버지

 

 

그칠

어조사

사랑

 

 

더불

나라

사람

사귈

 

 

그칠

어조사

믿을

 

 

시경에 이르기를 ‘穆穆하신 文王이여, 아! 계속하여 밝혀서 공경하여 그쳤다.’ 하였으니, 人君이 되어서는 仁에 그치시고, 人臣이 되어서는 敬에 그치시고, 人子가 되어서는 孝에 그치시고, 人父가 되어서는 慈에 그치시고, 國人과 더불어 사귐에 信에 그치셨다.

어조사

모을

어조사

 

 

소리

까마귀

 

 

 

 

 

 

글월

임금

 

 

화목할

화목할

 

 

깊을

 

 

어조사

 

 

탄식할

아름다울

말씀

 

 

모을

 

 

이을

이을

잇기

 

 

빛날

 

 

밝을

잇기

 

 

공경

그칠

 

 

말씀

없을

아닐

공경

말이을

편안

그칠

잇기

 

 

말이을

말씀

성인

사람

그칠

 

 

없을

아닐

이를

착할

 

 

다섯

이에

잇기

 

 

배울

어조사

 

 

연구할

정할

작을

쌓을

 

 

말이을

무리

다할

남을

 

 

법칙

어조사

하늘

아래

 

 

있을

그칠

말이을

없을

의심할

어조사

 

 

시는 文王篇이다. 穆穆은 深遠한 뜻이다. 於(오)는 아름다움을 감탄하는 말이다. 緝은 계속함이요, 熙는 光明함이다. 敬止는 공경하지 않음이 없어서 그치는 바에 편안함을 말한다. 이것을 인용하여 聖人의 그침은 至善 아님이 없음을 말한 것이니, 이 다섯 가지는 바로 그 條目의 큰 것이다. 배우는 자가 이에 대하여 그 精微의 깊음을 연구하고, 또 類推하여 그 나머지를 다한다면, 천하의 일에 대하여 모두 그 그칠 데를 알아 의심함이 없을 것이다.

 

 

 

 

이를

 

 

 

 

물이름

물굽이

 

 

조개풀

불깐개

불깐개

 

 

있을

문채날

임금

아들

 

 

같을

끊을

같을

 

 

같을

다듬을

같을

 

 

큰거문고

어조사

너그러울

어조사

 

 

빛날

어조사

지껄일

어조사

 

 

있을

문채날

임금

아들

 

 

마칠

아닐

옳을

지껄일

어조사

 

 

 

 

 

 

같을

끊을

같을

 

 

 

 

배울

잇기

 

 

 

 

같을

다듬을

같을

 

 

 

 

스스로

잇기

 

 

 

 

큰거문고

어조사

너그러울

어조사

 

 

 

 

정성

떨릴

잇기

 

 

 

 

빛날

어조사

지껄일

어조사

 

 

 

 

위엄

거동

잇기

 

 

 

 

있을

문채날

임금

아들

 

 

마칠

아닐

옳을

지껄일

어조사

 

 

 

 

성할

이를

착할

 

 

백성

아닐

능할

잊을

잇기

 

 

시경에 이르기를 ‘저 淇水 모퉁이를 보니, 푸른 대나무가 무성하구나! 문채나는 군자여, 잘라놓은 듯하고, 간 듯하며, 쪼아놓은 듯하고, 간듯하다. 엄밀하고 굳세며, 빛나고 점잖으니, 문채나는 군자여, 끝내 잊을 수 없다’ 하였으니, 如切如磋는 학문을 말한 것이요, 如琢如磨는 스스로 행실을 닦음이요, 瑟兮僩兮는 마음이 두려워함이요. 赫兮喧兮는 겉으로 드러나는 威儀요, 문채나는 군자여 끝내 잊을 수 없다는 것은 盛德과 至善을 백성이 능히 잊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물굽이

 

 

어조사

여섯

돌이킬

 

 

조개풀

 

 

 

 

 

 

지을

푸를

 

 

불깐개

 

 

화합할

소리

언덕

 

 

너그러울

 

 

아래

판목

돌이킬

 

 

지껄일

 

 

 

 

 

 

지을

섧게울

 

 

지껄일

 

 

 

 

 

 

지을

속일

 

 

나란히

상황

늦을

돌이킬

 

 

정성

 

 

나라

각시

읽을

지을

높을

 

 

 

 

 

 

지킬

바람

물이름

물굽이

 

 

물이름

 

 

이름

 

 

물굽이

 

 

굽이

잇기

 

 

불깐개

불깐개

 

 

아름다울

성할

모양

 

 

잇기

 

 

문채날

 

 

글월

모양

 

 

끊을

 

 

다듬을

쇠몽치

뚫을

 

 

마를

물건

하여금

使

이룰

모양

바탕

잇기

 

 

당노

 

 

모래

 

 

다스릴

물건

하여금

使

미끄러울

잇기

 

 

다스릴

 

 

이미

끊을

말이을

회복할

 

 

다스릴

구슬

 

 

이미

다듬을

말이을

회복할

 

 

말씀

다스릴

있을

실마리

 

 

말이을

더할

이를

정할

잇기

 

 

큰거문고

 

 

엄할

빽빽할

모양

 

 

너그러울

 

 

호반

굳셀

모양

 

 

빛날

지껄일

 

 

베풀

나타날

성할

모양

 

 

지껄일

 

 

잊을

잇기

 

 

 

 

말씀

잇기

 

 

배울

 

 

이를

외울

익힐

논할

 

 

스스로

 

 

살필

살필

이길

다스릴

 

 

정성

떨릴

 

 

싸움

두려워할

잇기

 

 

위엄

 

 

옳을

두려워할

잇기

 

 

거동

 

 

옳을

코끼리

잇기

 

 

 

 

 

 

말이을

 

 

밝을

밝을

밝을

그칠

어조사

이를

착할

 

 

배울

스스로

 

 

말씀

얻을

말미암을

 

 

정성

떨릴

 

 

위엄

거동

 

 

말씀

얼굴

성할

 

 

마칠

이에

가리킬

열매

말이을

탄식할

아름다울

잇기

 

 

시는 衛風 淇澳篇이다. 淇는 물 이름이요, 澳는 모퉁이이다. 猗猗는 아름답고 성한 모양이니, 興이다. 斐는 문채나는 모양이다. 切는 칼과 톱으로써 하고, 琢은 망치와 끌로써 하니, 모두 물건을 재단하여 형질을 이룩 하는 것이다. 磋는 줄과 대패로써 하고, 磨는 모래와 돌로써 하니, 모두 물건을 다스려서 매끄럽고 윤택하게 하는 것이다. 뼈와 뿔을 다스리는 자는 이미 잘라놓고 다시 이것을 갈며, 옥과 돌을 다스리는 자는 이미 쪼아놓고 다시 가니, 모두 그 다스림에 실마리가 있어 더욱 그 精함을 지극히 함을 말한 것이다. 瑟은 엄밀한 모양이요, 僩은 굳센 모양이다. 赫·喧은 드러나고 성대한 모양이다. 諠은 잊음이다. 道는 말함이다. 威는 두려울 만함이요, 儀는 본받을 만함이다. 시경을 인용하고 이것을 해석하여, 明明德하는 자의 止於至善을 밝힌 것이다. 道學과 自修는 이것을 얻게 된 所以의 이유을 말한 것이요, 恂慄과 威儀는 德容의 表裏의 성함을 말한 것이니, 마침내 그 실체를 가리켜, 歎美한 것이다.

 

 

 

 

이를

 

 

 

 

어조사

놀이

임금

아닐

잊을

 

 

 

 

임금

아들

어질

어질

 

 

말이을

친할

친할

 

 

작을

사람

노래

노래

 

 

말이을

이로울

이로울

 

 

빠질

인간

아닐

잊을

잇기

 

 

시경에 이르기를 ‘아아! 前王을 잊지 못한다’ 하였으니, 군자는 그(전왕) 어짊을 어질게 여기고, 그 친한 이를 친히 여기며, 소인은 그 즐겁게 해 주심을 즐거워하고, 그 이롭게 해주심을 이롭게 여기니, 이 때문에 세상에 없어도 잊지 못하는 것이다.

어조사

놀이

 

 

소리

슬플

부를

 

 

노래

 

 

소리

물이름

 

 

 

 

 

 

두루

칭송할

매울

글월

 

 

어조사

놀이

 

 

탄식할

말씀

 

 

임금

 

 

이를

글월

 

 

호반

잇기

 

 

임금

아들

 

 

이를

어질

임금

 

 

작을

사람

 

 

이를

백성

잇기

 

 

말씀

임금

백성

그칠

어조사

이를

착할

 

 

능할

하여금

使

하늘

아래

인간

없을

물건

아닐

얻을

 

 

이미

빠질

인간

말이을

사람

생각

그릴

 

 

나을

오랠

말이을

아닐

잊을

잇기

 

 

마디

읊을

탄식할

음란할

음탕할

 

 

깊을

 

 

마땅

익을

희롱할

 

 

시는 周頌 烈文篇이다. 於戲는 감탄하는 말이다. 전왕은 文王·武王을 이른다. 군자는 後賢과 後王을 이르고, 小人은 後民을 이른다. 이는 전왕이 백성을 새롭게 한 것이 지선에 그쳐서 능히 천하와 후세로 하여금 한 물건이라도 제 곳을 얻지 못함이 없게 하였다. 이 때문에 이미 돌아가시어 세상에 없는데도 사람들이 그를 思慕하여 더욱 오래토록 잊지 못함을 말한 것이다. 이 두 절은 咏嘆하고 淫佚하여 그 맛이 깊고 기니, 마땅히 익숙히 구경하여야 한다.

오른쪽

전할

 

 

그칠

어조사

이를

착할

 

 

右는 傳文의 3章이니, 止於至善을 해석하였다.

스스로

물이름

물굽이

 

 

 

 

아래

 

 

근본

그르칠

있을

정성

아래

 

 

이 장 안에 淇澳詩를 인용함으로부터 이하는 舊本에 잘못되어 誠意章 아래에 있었다.

(원문: https://zh.wikisource.org/wiki/四書章句集註/大學章句, 번역: 웹 공개파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