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 속 훈음은 달라질 수 있음)
전할
傳
전
여섯
六
륙
글
章
장
 
 
 
정성
誠
성
뜻
意
의
바
所
소
이를
謂
위
정성
誠
성
그
其
기
뜻
意
의
놈
者
자
 
:
 
말
毋
무
스스로
自
자
속일
欺
기
잇기
也
야
 
,
 
같을
如
여
악할
惡
악
악할
惡
악
냄새
臭
취
 
,
 
같을
如
여
좋을
好
호
좋을
好
호
빛
色
색
 
。
 
이
此
차
갈
之
지
이를
謂
위
스스로
自
자
겸손할
謙
겸
 
。
 
연고
故
고
임금
君
군
아들
子
자
반드시
必
필
삼갈
慎
신
그
其
기
홀로
獨
독
잇기
也
야
 
。
 
이른바 그 뜻을 성실히 한다는 것은 스스로 속이지 마는 것이니, 악을 미워하기를 악취를 미워하는 것과 같이 하며, 선을 좋아하기를 호색을 좋아하는 것과 같이 하여야 하니, 이것을 自慊이라 이른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홀로를 삼가는 것이다.
악할
惡
악
 
、
 
좋을
好
호
윗
上
상
글자
字
자
 
,
 
다
皆
개
갈
去
거
소리
聲
성
 
。
 
겸손할
謙
겸
읽을
讀
독
하
為
위
앙심먹을
慊
겸
 
,
 
쓸
苦
고
위협할
劫
겁
돌이킬
反
반
 
。
 
정성
誠
성
그
其
기
뜻
意
의
놈
者
자
 
,
 
스스로
自
자
길
脩
수
갈
之
지
머리
首
수
잇기
也
야
 
。
 
말
毋
무
놈
者
자
 
,
 
금할
禁
금
그칠
止
지
갈
之
지
말씀
辭
사
 
。
 
스스로
自
자
속일
欺
기
이를
云
운
놈
者
자
 
,
 
알
知
지
하
為
위
착할
善
선
써
以
이
갈
去
거
악할
惡
악
 
,
 
말이을
而
이
마음
心
심
갈
之
지
바
所
소
필
發
발
있을
有
유
아닐
未
미
열매
實
실
잇기
也
야
 
。
 
겸손할
謙
겸
 
,
 
쾌할
快
쾌
잇기
也
야
 
,
 
발
足
족
잇기
也
야
 
。
 
홀로
獨
독
놈
者
자
 
,
 
사람
人
인
바
所
소
아닐
不
부
알
知
지
말이을
而
이
몸
己
기
바
所
소
홀로
獨
독
알
知
지
갈
之
지
땅
地
지
잇기
也
야
 
。
 
말씀
言
언
하고자할
欲
욕
스스로
自
자
길
脩
수
놈
者
자
알
知
지
하
為
위
착할
善
선
써
以
이
갈
去
거
그
其
기
악할
惡
악
 
,
 
법칙
則
칙
마땅
當
당
열매
實
실
쓸
用
용
그
其
기
힘
力
력
 
,
 
말이을
而
이
금할
禁
금
그칠
止
지
그
其
기
스스로
自
자
속일
欺
기
 
。
 
하여금
使
사
그
其
기
악할
惡
악
악할
惡
악
법칙
則
칙
같을
如
여
악할
惡
악
악할
惡
악
냄새
臭
취
 
,
 
좋을
好
호
착할
善
선
법칙
則
칙
같을
如
여
좋을
好
호
좋을
好
호
빛
色
색
 
,
 
다
皆
개
힘쓸
務
무
결단할
決
결
갈
去
거
 
,
 
말이을
而
이
구할
求
구
반드시
必
필
얻을
得
득
갈
之
지
 
,
 
써
以
이
스스로
自
자
쾌할
快
쾌
발
足
족
어조사
於
어
몸
己
기
 
,
 
아닐
不
부
옳을
可
가
무리
徒
도
진실로
苟
구
또
且
차
써
以
이
따라죽을
殉
순
바깥
外
외
말이을
而
이
하
為
위
사람
人
인
잇기
也
야
 
。
 
그럴
然
연
그
其
기
열매
實
실
더불
與
여
아닐
不
부
열매
實
실
 
,
 
덮을
蓋
개
있을
有
유
다를
他
타
사람
人
인
바
所
소
아닐
不
부
미칠
及
급
알
知
지
말이을
而
이
몸
己
기
홀로
獨
독
알
知
지
갈
之
지
놈
者
자
 
,
 
연고
故
고
반드시
必
필
삼갈
謹
근
갈
之
지
어조사
於
어
이
此
차
써
以
이
살필
審
심
그
其
기
몇
幾
기
어찌
焉
언
 
。
 
그 뜻을 성실히 하는 것은 自修의 첫 머리이다. 毋는 금지하는 말이다. 自欺는 선을 하고 악을 제거해야 함을 알되, 마음의 발하는 바가 성실하지 못함이 있는 것이다. 謙은 快함이며, 만족함이다. 독은 남은 알지 못하고, 자기만이 홀로 아는 바의 곳이다. 스스로 닦고자 하는 자는 선을 하고 악을 제거해야 함을 알았으면, 마땅히 실제로 그 힘을 써서 自欺함을 금지하여, 가령 악을 미워함에는 惡臭를 미워하는 것과 같이 하고, 선을 좋아함에는 호색을 좋아하는 것과 같이 하여, 모두 힘써 결단하여 버리고, 구하여 반드시 얻어서 스스로 자기에게 만족하게 할 것이요, 한갓 구차히 외면을 따라 남을 위해서는 안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 성실하고 성실하지 못함은 남은 미처 알지 못하고 자기만이 홀로 아는 데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이것(홀로)을 삼가 그 幾微를 살펴야 함을 말씀한 것이다.
작을
小
소
사람
人
인
한가할
閒
한
살
居
거
하
為
위
아닐
不
부
착할
善
선
 
,
 
없을
無
무
바
所
소
아닐
不
부
이를
至
지
 
,
 
볼
見
견
임금
君
군
아들
子
자
 
,
 
말이을
而
이
뒤
后
후
싫어할
厭
염
그럴
然
연
 
。
 
가릴
揜
엄
그
其
기
아닐
不
부
착할
善
선
 
,
 
말이을
而
이
나타날
著
저
그
其
기
착할
善
선
 
。
 
사람
人
인
갈
之
지
볼
視
시
몸
己
기
 
,
 
같을
如
여
볼
見
견
그
其
기
허파
肺
폐
간
肝
간
그럴
然
연
 
,
 
법칙
則
칙
어찌
何
하
더할
益
익
어조사
矣
의
 
?
 
이
此
차
이를
謂
위
정성
誠
성
어조사
於
어
가운데
中
중
 
,
 
모양
形
형
어조사
於
어
바깥
外
외
 
。
 
연고
故
고
임금
君
군
아들
子
자
반드시
必
필
삼갈
慎
신
그
其
기
홀로
獨
독
잇기
也
야
 
。
 
소인이 한가로이 거할 때에 불선한 짓을 하되 이르지 못하는 바가 없다가, 군자를 본 뒤에 겸연쩍게 그 불선함을 가리우고 선함을 드러내나니, 남들이 자기를 보기를 자신의 肺腑을 보듯이 할 것이니, 그렇다면 무슨 유익함이 있겠는가. 이것을 일러, ‘중심에 성실하면 외면에 나타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홀로 있을 때를 삼가는 것이다.
한가할
閒
한
 
,
 
소리
音
음
한가할
閑
한
 
。
 
싫어할
厭
염
 
,
 
나라
鄭
정
각시
氏
씨
읽을
讀
독
하
為
위
사마귀
黶
염
 
。
 
한가할
閒
한
살
居
거
 
,
 
홀로
獨
독
곳
處
처
잇기
也
야
 
。
 
싫어할
厭
염
그럴
然
연
 
,
 
사라질
消
소
막을
沮
저
닫을
閉
폐
감출
藏
장
갈
之
지
모양
貌
모
 
。
 
이
此
차
말씀
言
언
작을
小
소
사람
人
인
그늘
陰
음
하
為
위
아닐
不
부
착할
善
선
 
,
 
말이을
而
이
볕
陽
양
하고자할
欲
욕
가릴
揜
엄
갈
之
지
 
,
 
법칙
則
칙
이
是
시
아닐
非
비
아닐
不
부
알
知
지
착할
善
선
갈
之
지
마땅
當
당
하
為
위
더불
與
여
악할
惡
악
갈
之
지
마땅
當
당
갈
去
거
잇기
也
야
 
;
 
다만
但
단
아닐
不
부
능할
能
능
열매
實
실
쓸
用
용
그
其
기
힘
力
력
써
以
이
이를
至
지
이
此
차
귀
耳
이
 
。
 
그럴
然
연
하고자할
欲
욕
가릴
揜
엄
그
其
기
악할
惡
악
말이을
而
이
마칠
卒
졸
아닐
不
부
옳을
可
가
가릴
揜
엄
 
,
 
하고자할
欲
욕
속일
詐
사
하
為
위
착할
善
선
말이을
而
이
마칠
卒
졸
아닐
不
부
옳을
可
가
속일
詐
사
 
,
 
법칙
則
칙
또
亦
역
어찌
何
하
더할
益
익
갈
之
지
있을
有
유
어조사
哉
재
 
!
 
이
此
차
임금
君
군
아들
子
자
바
所
소
써
以
이
무거울
重
중
써
以
이
하
為
위
경계할
戒
계
 
,
 
말이을
而
이
반드시
必
필
삼갈
謹
근
그
其
기
홀로
獨
독
잇기
也
야
 
。
 
閑居는 홀로 거처하는 것이다. 厭然은 消沮하여 은폐하고 감추는 모양이다. 이는 소인이 속으로 불선을 하고 겉으로 이것을 감추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선을 마땅히 해야 함과 악을 마땅히 제거해야 함을 알지 못하는 것이 아니로되, 다만 실제로 그 힘을 쓰지 못하여 이에 이른 것이다. 그러나 그 악을 가리우고자 하여도 끝내 가리우지 못하고, 거짓으로 선을 하고자 하여도 끝내 속일 수가 없으니, 그렇다면 또한 무슨 유익함이 있겠는가! 이는 군자가 거듭 경계하여 반드시 그 홀로 있을 때를 삼가는 까닭을 말씀한 것이다.
일찍
曾
증
아들
子
자
가로
曰
왈
 
:
 
 
「
 
열
十
십
눈
目
목
바
所
소
볼
視
시
 
,
 
열
十
십
손
手
수
바
所
소
가리킬
指
지
 
,
 
그
其
기
엄할
嚴
엄
어조사
乎
호
 
。
 
 
」
 
曾子께서 말하기를 ‘열 눈이 보는 바이며, 열 손가락이 가리키는 바이니, 그 무섭구나!’
끌
引
인
이
此
차
써
以
이
밝을
明
명
윗
上
상
글월
文
문
갈
之
지
뜻
意
의
 
。
 
말씀
言
언
비록
雖
수
그윽할
幽
유
홀로
獨
독
갈
之
지
가운데
中
중
 
,
 
말이을
而
이
그
其
기
착할
善
선
악할
惡
악
갈
之
지
아닐
不
부
옳을
可
가
가릴
揜
엄
같을
如
여
이
此
차
 
。
 
옳을
可
가
두려워할
畏
외
갈
之
지
심할
甚
심
잇기
也
야
 
。
 
이것을 인용하여 윗 글의 뜻을 밝힌 것이다. 비록 幽獨의 가운데라도 그 선악의 가리울 수 없음이 이와 같으니, 두려울 만함이 심함을 말씀한 것이다.
부유할
富
부
불을
潤
윤
집
屋
옥
 
,
 
큰
德
덕
불을
潤
윤
몸
身
신
 
。
 
마음
心
심
넓을
廣
광
 
,
 
몸
體
체
클
胖
반
 
。
 
연고
故
고
임금
君
군
아들
子
자
반드시
必
필
정성
誠
성
그
其
기
뜻
意
의
 
。
 
富는 집을 윤택하게 하고, 德은 몸을 윤택하게 하니, 덕이 있으면 마음이 넓어지고 몸이 펴진다. 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그 뜻을 성실히 하는 것이다.
클
胖
반
 
,
 
걸음
步
보
붉을
丹
단
돌이킬
反
반
 
。
 
클
胖
반
 
,
 
편안
安
안
펼
舒
서
잇기
也
야
 
。
 
말씀
言
언
부유할
富
부
법칙
則
칙
능할
能
능
불을
潤
윤
집
屋
옥
어조사
矣
의
 
,
 
큰
德
덕
법칙
則
칙
능할
能
능
불을
潤
윤
몸
身
신
어조사
矣
의
 
,
 
연고
故
고
마음
心
심
없을
无
무
부끄러울
愧
괴
부끄러워할
怍
작
 
,
 
법칙
則
칙
넓을
廣
광
클
大
대
너그러울
寬
관
평평할
平
평
 
,
 
말이을
而
이
몸
體
체
떳떳할
常
상
펼
舒
서
클
泰
태
 
,
 
큰
德
덕
갈
之
지
불을
潤
윤
몸
身
신
놈
者
자
그럴
然
연
잇기
也
야
 
。
 
덮을
蓋
개
착할
善
선
갈
之
지
열매
實
실
어조사
於
어
가운데
中
중
말이을
而
이
모양
形
형
어조사
於
어
바깥
外
외
놈
者
자
같을
如
여
이
此
차
 
,
 
연고
故
고
또
又
우
말씀
言
언
이
此
차
써
以
이
맺을
結
결
갈
之
지
 
。
 
胖은 편안하고 펴짐이다. 부하면 능히 집을 윤택하게 하고, 덕이 있으면 능히 몸을 윤택하게 한다. 그러므로 마음에 부끄러움이 없으면 廣大하고 寬平하여 몸이 항상 펴지고 편안하니, 덕이 몸을 윤택하게 함이 그러한 것이다. 善이 中心에 誠實하여 外面에 나타남이 이와 같다. 그러므로 또 이것을 말씀하여 맺은 것이다.
오른쪽
右
우
전할
傳
전
갈
之
지
여섯
六
륙
글
章
장
 
。
 
풀
釋
석
정성
誠
성
뜻
意
의
 
。
 
우는 전문의 6장이니, 성의를 해석하였다.
지날
經
경
가로
曰
왈
 
:
 
 
「
 
하고자할
欲
욕
정성
誠
성
그
其
기
뜻
意
의
 
,
 
먼저
先
선
이를
致
치
그
其
기
알
知
지
 
。
 
 
」
 
또
又
우
가로
曰
왈
 
:
 
 
「
 
알
知
지
이를
至
지
말이을
而
이
뒤
后
후
뜻
意
의
정성
誠
성
 
。
 
 
」
 
덮을
蓋
개
마음
心
심
몸
體
체
갈
之
지
밝을
明
명
있을
有
유
바
所
소
아닐
未
미
다할
盡
진
 
,
 
법칙
則
칙
그
其
기
바
所
소
필
發
발
반드시
必
필
있을
有
유
아닐
不
부
능할
能
능
열매
實
실
쓸
用
용
그
其
기
힘
力
력
 
,
 
말이을
而
이
진실로
苟
구
어찌
焉
언
써
以
이
스스로
自
자
속일
欺
기
놈
者
자
 
。
 
그럴
然
연
혹
或
혹
몸
己
기
밝을
明
명
말이을
而
이
아닐
不
부
삼갈
謹
근
어조사
乎
호
이
此
차
 
,
 
법칙
則
칙
그
其
기
바
所
소
밝을
明
명
또
又
우
아닐
非
비
몸
己
기
있을
有
유
 
,
 
말이을
而
이
없을
無
무
써
以
이
하
為
위
나아갈
進
진
큰
德
덕
갈
之
지
터
基
기
 
。
 
연고
故
고
이
此
차
글
章
장
갈
之
지
가리킬
指
지
 
,
 
반드시
必
필
이을
承
승
윗
上
상
글
章
장
말이을
而
이
통할
通
통
생각할
考
고
갈
之
지
 
,
 
그럴
然
연
뒤
後
후
있을
有
유
써
以
이
볼
見
견
그
其
기
쓸
用
용
힘
力
력
갈
之
지
비로소
始
시
마칠
終
종
 
,
 
그
其
기
차례
序
서
아닐
不
부
옳을
可
가
어지러울
亂
란
말이을
而
이
공
功
공
아닐
不
부
옳을
可
가
대궐
闕
궐
같을
如
여
이
此
차
이를
云
운
 
。
 
經文에 이르기를 ‘그 뜻을 성실히 하고자 한다면 먼저 그 지식을 지극히 하라’ 하였고, 또 말하기를 ‘지식이 지극한 뒤에 뜻이 성실해진다’ 하였으니, 心體의 밝음이 未盡한 바가 있으면 그 발하는 바가 반드시 실제로 그 힘을 쓰지 못하여 구차하게 스스로 속임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혹 이미 밝게 알았다 하더라도 이것을 삼가지 않으면 그 밝힌 것이 또 자기의 소유가 아니어서 덕에 나아가는 기초로 삼을 수 가 없다. 그러므로 이 장의 뜻은 반드시 윗장을 이어서 통틀어 상고한 뒤에야 힘을 쓰는 시와 종을 볼 수 있으니, 그 순서를 어지럽힐 수 없고, 공부를 빠뜨릴 수 없음이 이와 같다.
(원문: https://zh.wikisource.org/wiki/四書章句集註/大學章句, 번역: 웹 공개파일)
'경서&한문 > 대학장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大學章句] 傳八章 脩身齊家 ([대학장구] 전팔장 수신제가) (0) | 2018.02.23 |
---|---|
9.[大學章句] 傳七章 正心脩身 ([대학장구] 전칠장 정심수신) (0) | 2018.02.23 |
7.[大學章句] 傳五章 格物致知 ([대학장구] 전오장 격물치지) (0) | 2018.02.23 |
6.[大學章句] 傳四章 本末 ([대학장구] 전사장 본말) (0) | 2018.02.22 |
5.[大學章句] 傳三章 止於至善 ([대학장구] 전삼장 지어지선) (0) | 2018.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