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장 속 훈음은 달라질 수 있음)

전할

일곱

 

 

 

바를

마음

이를

있을

바를

마음

 

 

있을

성낼

忿

성낼

 

 

법칙

아닐

얻을

바를

 

 

있을

두려울

두려워할

 

 

법칙

아닐

얻을

바를

 

 

있을

좋을

노래

 

 

법칙

아닐

얻을

바를

 

 

있을

근심

근심

 

 

법칙

아닐

얻을

바를

 

 

이른바 몸을 닦음이 그 마음을 바룸에 있다는 것은 마음에 忿懥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며, 恐懼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며, 좋아하고 즐기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하며, 憂患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못한다.

한도

아들

가로

 

 

 

 

있을

마땅

지을

마음

 

 

 

 

성낼

忿

 

 

아닐

가루

돌이킬

 

 

성낼

 

 

칙서

돌이킬

 

 

좋을

 

 

노래

 

 

나란히

소리

 

 

성낼

忿

성낼

 

 

성낼

잇기

 

 

덮을

 

 

마음

 

 

말이을

사람

아닐

능할

없을

 

 

그럴

있을

말이을

아닐

능할

살필

 

 

법칙

하고자할

움직일

이길

 

 

말이을

다닐

 

 

아닐

능할

아닐

잃을

바를

어조사

 

 

정자는 身有의 身은 心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忿懥는 怒함이다. 이 네 가지는 모두 마음의 用이니, 사람이 없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한 번 이것을 두고 살피지 못하면, 욕심이 動하고 情이 치우쳐서, 그 用의 행하는 바가 혹 올바름을 잃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마음

아닐

있을

어찌

 

 

말이을

아닐

 

 

들을

말이을

아닐

들을

 

 

말이을

아닐

 

 

마음이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으며, 들어도 들리지 않으며,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

마음

있을

아닐

있을

 

 

법칙

없을

검사할

 

 

임금

아들

반드시

살필

어조사

말이을

공경

곧을

 

 

그럴

마음

떳떳할

있을

말이을

없을

아닐

잇기

 

 

마음이 보존되지 못함이 있으면 그 몸을 檢束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군자는 반드시 이를 살펴서 경하여 마음을 곧게 하니, 그러한 뒤에야 이 마음이 항상 보존되어서 몸이 닦아지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이를

있을

바를

마음

 

 

이것을 일러 몸을 닦음이 그 마음을 바룸에 있다고 하는 것이다

오른쪽

전할

일곱

 

 

바를

마음

 

 

우는 전문의 7장이니, 正心·修身을 해석하였다.

이을

일어날

아래

 

 

덮을

정성

법칙

없을

악할

말이을

열매

있을

착할

어조사

 

 

능할

있을

마음

검사할

 

 

그럴

다만

정성

 

 

말이을

아닐

능할

빽빽할

살필

마음

있을

아닐

 

 

법칙

없을

곧을

말이을

잇기

 

 

스스로

아래

 

 

나란히

글월

바를

 

 

이 또한 윗장을 이어서 아랫장을 일으킨 것이다. 뜻이 성실해지면 참으로 악이 없고 진실로 선이 있을 것이니, 이 때문에 능히 마음을 보존하여 그 몸을 檢束하는 것이다. 그러나 혹 다만 誠意만을 알고, 이 마음의 보존되고 보존되지 않음을 치밀히 살피지 못한다면, 또 안을 곧게 하여 몸을 닦을 수가 없다. 이로부터 이하는 모두 옛 글을 옳은 것으로 삼는다.

(원문: https://zh.wikisource.org/wiki/四書章句集註/大學章句, 번역: 웹 공개파일)


반응형

+ Recent posts